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기타 사람들에 의해 제공되는 여러 형태의 도움과 원조라고 정의하였으
조현정팀장
2017. 2. 26. 00:30
이웃, 기타 사람들에 의해 제공되는 여러 형태의 도움과 원조라고 정의하였으 며, 한미현(1996)은 타인들로부터 받은 사랑이나 인정, 정보, 물질적 원조 등사회적 관계를 통해 타인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으로 정의 하였다. 김지혜(1998)는 사회적지지를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개인에게 제공되는 사회적 행위 또는 태도로서, 개인의 기능을 강화하고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 의도를 갖는 것이라고 하였다.
국외의 학자들의 사회적지지에 대한 정의는 사회관계망 속에서의 관계와 긍정적인 자원으로서의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있다(Cobb. 1976; Cohen & Hoberman, 1983; Kaplan et al,, 1977; Nolten, 1994; Thoits, 1982). 우선 Cobb(1976)은 사회적지지의 개념과 기능 및 효과를 분명하게 규명하였으며, 사회적지지를 자기 자신이 사랑과 돌봄을 받고 존중되며 가치 있다고 여겨지 거나 의사소통 관계망이나 상호 의미의 일원이라고 믿어지도록 하는 정보의 구성요소로 정의하였다. Kaplan et al.,(1977)는 사회적지지를 의지할 수 있는 사람, 돌보아 주고 사랑하고 가치 있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사람의 존재나 이용 가능성으로 정의하고 있다. Thoits(1982)는 모든 사람은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만족될 수 있는 애정, 인정, 소속 및 안정에 대한 욕구가 있으며, 이 욕구는 주위로부터의 사회적지지를 통해서 만족될 수 있다고 주장 하였다. Cohen & Hoberman(1983)은 사회적지지를 한 개인이 그가 가진 대인 관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으로 정의하였으며, Nolten(1994) 는 사회적지지를 부모, 또래, 교사 등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개인에게 제공되는 친사회적 행동 또는 태도라고 하였다.
Cobb(1976)은 사회적지지를 정서적지지, 자존감지지, 관계망 지지로 구분하 였다. 즉 보호받고 사랑받고 있음을 믿게 하는 정서적지지, 가치 있음을 믿게 하는 자존감지지, 대화할 수 있고 상호 의무가 있는 관계에 속한 구성임을 믿게 해주는 관계망 지지를 포함시켰다.
- 19 -
국외의 학자들의 사회적지지에 대한 정의는 사회관계망 속에서의 관계와 긍정적인 자원으로서의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있다(Cobb. 1976; Cohen & Hoberman, 1983; Kaplan et al,, 1977; Nolten, 1994; Thoits, 1982). 우선 Cobb(1976)은 사회적지지의 개념과 기능 및 효과를 분명하게 규명하였으며, 사회적지지를 자기 자신이 사랑과 돌봄을 받고 존중되며 가치 있다고 여겨지 거나 의사소통 관계망이나 상호 의미의 일원이라고 믿어지도록 하는 정보의 구성요소로 정의하였다. Kaplan et al.,(1977)는 사회적지지를 의지할 수 있는 사람, 돌보아 주고 사랑하고 가치 있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사람의 존재나 이용 가능성으로 정의하고 있다. Thoits(1982)는 모든 사람은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만족될 수 있는 애정, 인정, 소속 및 안정에 대한 욕구가 있으며, 이 욕구는 주위로부터의 사회적지지를 통해서 만족될 수 있다고 주장 하였다. Cohen & Hoberman(1983)은 사회적지지를 한 개인이 그가 가진 대인 관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으로 정의하였으며, Nolten(1994) 는 사회적지지를 부모, 또래, 교사 등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개인에게 제공되는 친사회적 행동 또는 태도라고 하였다.
Cobb(1976)은 사회적지지를 정서적지지, 자존감지지, 관계망 지지로 구분하 였다. 즉 보호받고 사랑받고 있음을 믿게 하는 정서적지지, 가치 있음을 믿게 하는 자존감지지, 대화할 수 있고 상호 의무가 있는 관계에 속한 구성임을 믿게 해주는 관계망 지지를 포함시켰다.
-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