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부부관계 등 다양한 측면을 살펴본 기존의 연구(전귀연, 1993; 정종권, 1998

조현정팀장 2017. 3. 14. 00:00
적응, 부부관계 등 다양한 측면을 살펴본 기존의 연구(전귀연, 1993; 정종권, 1998; 최양임, 1993; 홍성애, 1988)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으며,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가족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을 살펴본 연구로는 김순기(2001)의 연구가 있으나 이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을 각각의 독립변수로 보고 있어서 성인남녀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변수 연구가 수행되 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가정환경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 정체감과 그 관련 변인을 알아본 연구(박성옥·어은주, 1994)에서도 대학생의 개인적 변인(성별, 학력, 종교)보다는 부모의 양육태도 및 가족 간의 자율감과 친밀감으로 표현되는 가족의 기능도가 자아정체감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하였으며,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민주적일수록, 가족의 기능 도가 높을수록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박아청(1984)은 부모가 안정된 가치관과 일관성 있는 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자녀의 자아정체감 발달이 잘 될 것이고, 일관성 있는 태도와 안정된 가치관을 가지는 것은 자아분화 수준이 높은 사람의 특성으로, 자아분화 수준은 자녀에게 세대를 통해 전수되므로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이 높으면 자녀 또한 높아지고, 따라서 부모로부터 독립, 개성화 될 수 있으므로 자아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개인내적인 자아정체감이 잘 형성된다고 추론하였으며, 가정의 사회심 리적 환경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김희영(1986)은 가정의 응결력, 가족 상호간의 태도, 친애, 자율 등의 변인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정적인 상관을 보이며, 물질지향주의, 사회상승주의, 부모의 역할기대 등은 부적 상관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고, 김경은과 최은희(2010)는 가족건강성은 자녀의 심리, 발달, 학교적응 등에 매우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건강한 가족관계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녀들은 정서적인 안정감과 소속감, 만족감을 갖게 되어 학교 생활적응, 학업성취에도 긍정적 성과를 보였다.
- 26 -

. 가족건강성이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효돈 이용률 보통

학위논문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6.2 TD 361 -16-330 석박사학위논문실(107호) 학위논문(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