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점에서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을 통해 현재 작품 활동을
내용적으로는 본 연구자의 작품을 통해 드러 난, 일 렁 이는 존재진리의 실체를 연구해 볼 수 있는 소중한 기 회 였다. 먼저 안토니 곰리와 마찬 가 지로 인간과 몸에 대한 다양한 사유의 과정이었다. 또한 본 연구자가 작 품 활동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작품 균 열 속에 드러 난 존재 진리이며 존재진리는 곧 다른 것이 아 닌 자아( Eg o)였음이 드러났 다. 감상과 관련하 여, 꾸준 한 움직임( d o)을 통하여 그 부 산 물이 생 기며, 이는 순 수하게 작품 그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며 진리를 형 태 가운데 확 립 함을 결론으로 도출 할 수 있었다.
-주요어(Key Word)-
사물, 도구, 세계( W e l t), 대지( E r d e), 투쟁( S tre i t), 진리( W ahrhe i t)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목적
포스 트 모 더 니 즘 아래 미술은 한 지역에 한정되지 않는 포 괄 적인 현상이 며 다양한 작가들이 미술 사조에 묶 이지 않고 각자의 개성을 드러 내기 여 념이 없다. 현재 미술의 다양한 시도 속에서 예술은 그 범위가 확장되었 으며 연극, 음악, 미술, 영화 등 각 예술 영역의 경계가 모호해졌다.
이 시점에서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을 통해 현재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연구자의 현 위치와 나아갈 바를 아는 것이 무엇보다도 절실해 졌다. 하이데거( M art i n H e id e gg er, 1889 ∼ 1976 )는 오직 작품을 통하여 예 술의 의미를 알고 참 된 진리를 얻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세계와 대지의 투쟁, 작품의 온 전한 현실성을 통해 예술의 본질을 사유하며 연구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지 금 까지 가스절단기를 사용하여 철을 깎는 조각을 해 왔
다. 불 이 지나간 흔 적 마 다 생긴 선들은 작품에 다양한 표정을 남 긴 다. 작 업을 하면서 연구자의 흔 적을 지우고 작품이 오로지 살 아 움직이기를 바 라는 것은 하이데거의 예술론과 맞닿 는 부분이 있다. 하이데거의 작품에 의거한 예술개념 정 립 과 곰리와 자코메티의 작품 정신을 탐색해보는 것을 통하여 본 연구자의 작업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우선 하이데거의 <예술작품의 근원>에서 예술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한 세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첫째 예술작품의 사물적 측면과 관련하여 ‘사 물’의 개념을 분석하고 ‘반 고흐의 그림’을 통해 진리를 확인할 것이다. 둘 째 ‘그리스 신전’이라는 작품을 통해 ‘세계와 대지의 투쟁’으로 드러 난 진 리를 탐구할 것이다. 셋째 작품존재에 기대어 물어 왔 던 예술을 창작과 작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