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케이블방송 티비연결 딜라이브 씨제이 팀장님과 함꼐 만나요!!!!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15. 10. 5. 19:48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가?” 64) 라 하여 이념적으로는 아버지에 대한 자식의 효 또는 임금에 대한 신하 의 충이 일반적 무조건적인 복종의무가 아님을 명백히 하고 있다.
여기에서 효는 또 하나의 중심규범인 충과 결합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 러나 효가 자신의 신체를 잘 보존하고 부모를 잘 봉양하며 후대를 계승해야 한다는 가족사회에 바탕 한 윤리임에 대해서, 충은 때로 국가나 군주를 위하 여 자신을 희생할 수도 있는 국가적 차원의 윤리임을 감안한다면 이 둘은 상 호충돌할 수 있는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서는 이 문제를
“군자는 부모를 효도로 섬기기 때문에 그 마음으로 임금에게 충성을 하게 되 는 것이요” 65) 라고 하여 효를 근본으로 충이 확충되어나가는 일종의 질서체계 를 가짐으로써 조화시켜 왔다.
2. 『명심보감(明心寶鑑)』
고려시대 말기에 편찬되었다고 전해지는『명심보감』은 유학적 효사상을 여 러 중국고전(『효경』, 『논어』, 『맹자』 등등)에서 선택하여 엮은 명언집이 다. 『명심보감』은 인생의 수신서로서 그 내용도 생활적인 지침에서부터 올 바른 처세를 위한 여러 경구들, 행동의 좌우명, 그밖에 인생의 지혜가 될 문장 들을 다양하게 수록해 놓고 있다. 그 경구나 일화가 수록된 인물과 서체가 다 채로워서 오히려 어떤 일정한 체계가 없어 보이기까지 한다. 혹은 유교사상과 도교사상이 뒤섞여 있기도 하다.
그러나 그 모든 문장들이 일관된 하나의 흐름으로 통일되어있으니 그것이 바로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도이다. 그리고 유교적 덕목이 더 강조되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여러 곳에서 유교의 실천적 덕목인 삼강오륜에
64) 같은 책,「諫爭章」, “故當不義則子不可以不爭於父臣不可以不爭於君. 故當不義則爭之從父之관해 설명함으로써 우리 인생에서 무엇이 정도를 걷는 길인가 하는 점을 보여 주고 있기 때문이다.
『명심보감』의 내용은 선하고 악한 점을 분별하여 선한 행실을 하게 한
「계선(繼善)」이 10장, 하늘의 명을 따르는 「천명(天命)」이 7장, 타고난 운 명에 순응하는 「순명(順命)」이 5장, 어버이에게 효도하는 「효행(孝行)」이 6장, 자기 자신의 행실을 바로잡는 「정기(正己)」가 26장, 주어진 분수를 지 키는 「안분(安分)」이 7장, 바른 마음을 가지는 「존심(存心)」이 20장, 성품 을 경계하는 「계성(戒性)」이 10장, 학문을 권고하는 「권학(勸學)」이 8장, 자녀를 가르치는 「훈자(訓子)」가 11장, 마음가짐을 반성하는 「성심(省心)」
이 90장, 가정교육의 법도를 세우는 「입교(立敎)」가 13장, 나라의 정사를 다 스리는 「치정(治政)」이 8장, 가정을 다스리는 「치가(治家)」가 8장, 의리를 지키는 「안의(安義)」가 3장, 예절을 지키는 「존예(尊5)」가 7장, 말을 삼 가는 「언어(言語)」가 7장, 좋은 벗을 사귀는 「교우(交友)」가 8장, 부녀의 행실을 바로잡는 「부행(’行)」이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두 19편 259장 이다.
여기에 누군가가 덧붙인 「증보(增補)」가 2장, 여덟 가지 반성하는 노래인
「팔반가(八反歌)」가 8장, 효도한 사실을 적은 「효행편속(孝行篇續)」이 3 장, 청렴한 행실을 적은 「염의(廉義)」가 3장 더 덧붙여져 있다. 이들 내용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사람의 마음가짐과 행실을 바르게 하고 착하게 살아야 한 다는 점을 깨닫게 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특히 『명심보감』의 「효행」은 효 를 행해야 하는 이유와 효의 실천방법에 관하여 간단히 기술하고 있다.
효의 실천방법은 “공경하고 즐겁게 해드리고 병들까 걱정하고 죽음에 슬픔 을 다하고 제사를 엄숙히 지낼지어다” 66) 라고 하여 부모 생시뿐만 아니라 사후 에 까지 효를 실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부모의 생시에는 “부모가 살아계시

posted by 조현정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