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케이블방송 티비연결 딜라이브 씨제이 팀장님과 함꼐 만나요!!!!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15. 9. 29. 21:00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방민서 (2013), 모바일을 이용한 패션상 품 구매자의 개인적 특성이 모바일 쇼핑
수용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 , 석 사학위논문, 한 양 대학 교 대학 원 .
배 정민, 김 미정, 이춘수 (2010), 한 류 가 중 국소비자의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 향 에 관 한 실 증연구: 음식제 품 및 음식기업이미지 중심 으로, 현대 중 국연구, 11(2), 123-155.
서창 교 , 정 석 주 (2004), 개인 특성이 인터 넷 쇼핑몰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 향 , 경영 정보학 연구, 14(3), 1-22.
손공 동 (2002), 모바일 광고 기법에 따른 수용자 반 응 연구, 석 사학위논문, 홍 익대
학 교 광고 홍 보대학 원 .
신일기, 최 수형, 신현신 (2011), 모바일 광고의 상호작용 구성요인이 모바일 광고 수용에 미치는 영 향 : 몰 입과 침 입성을 매개 변 인으로, 한국디자인포 럼 , 33, 299-308.
안 광호, 유창조 (2002), 광고 원론 , 서울: 법문사.
안 대천, 김 상 훈 (2009), 수정된 기 술 수용모 델 ( Te c hnolo g y A cc eptan c e Model )을 적 용한 모바일광고 수용의도연구 : 성 별 요인( Gender )의 조절효과, 광고학연 구, 20(4), 171-188.
안 대천, 김 상 훈 (2010), 수용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모바일 광고태도 및 매체이용 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 홍 보학보, 12(1), 184-220.
앙흐 토야 (2014), 페 이스 북 광고유형이 클릭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 : 브 랜드 관여도 및 페 이스 북 관여도 조절효과를 중심 으로, 석 사학위논문, 한 성대학 교 대학 원 .양병화 , 김 영 찬 (2008), 모바일 광고효과에 대한 상호인과성 모형 연구: 광고 커뮤 니케 이션과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융 합 , 광고학연구, 19(3), 157-171.
양 윤, 강승숙 (2002), 충 동구매경 향 성에 따른 소비자의 혁신성 향 과 정보탐색에서의 차이, 광고연구, 1(57), 53-74.
오 두 범 (1998), 광고학 원론 , 서울: 전예원 .
오 두 범 (2003), 광고와 현대사 회 , 서울: 전예원 .
왕효무 (2009),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 에 관한
실 증적 연구 : 브랜드 이미지의 하위요소를 중심 으로, 석 사학위논문, 강남
대학 교 대학 원 .
유동구 (2013), 소비자의 시간적 거 리 감 에 따른 광고메시지 유형의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석 사학위논문, 홍 익대학 교 산 업대학 원 .
유상진, 김 효정, 정익재, 서창 교 (2006), 모바일 광고의 현황 및 수용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 산 업경영학 회 발표논문집, 641-661.
유제국 (2001), 모바일광고 현황과 시사점, 정보통신정 책 , 13(14), 27-43.
유진영 (2008), 모바일 광고 유형과 이용가치에 따른 수용자 태도 변화 연구, 석 사 학위논문, 홍 익대학 교 광고 홍 보대학 원 .
윤상현 (2000), 관여수 준 에 따른 인터 넷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 상호작용성 (i ntera c t i v i ty )을 중심 으로, 석 사학위논문, 연세대학 원 대학 원 .
윤관희 (2012), 녹색제 품 의 특성이 효과성 지 각 과 제 품 태도에 미치는 영 향 에 관한 연구 : 환경가치 지 향 성의 조절효교 대학 원 .
이동건 (2006), 브랜드개성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 향 에 관한 연구 : 관여도 유 형을 조절 변 수로, 석 사학위논문, 경희대학 교 대학 원 .
이두희 (2002), 광고 론 , 서울: 박 영사.
이 명 천, 김 요한 (2010), 광고학개 론 , 서울: 커뮤니케 이션 북 스.
이 병 관, 조은현 (2009), 신제 품 수용에 미치는 소비자의 혁신성과 조절초점의 효과 연구, 광고학연구, 20(1), 127-143.
이 승준 (2003), 특집: 이제 광고도 모바일 ! /성장 배 경 및 특징, 광고정보, 265, 9-13.
이시 훈 (2009), 인터 넷 과 모바일광고의 변화 와 표 준화 , 한경사.
이시 훈 (2010), 모바일 광고 연구경 향 과 이 론화 , 커뮤니케 이션이 론 , 6(1), 6-49.
이신희 (2002), 푸 시기 술 을 이용한 웹 배 너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석 사학위논문,
강원 대학 교 정보과학대학 원 .
이유재, 라선아 (2002), 브랜드 퍼스 낼 리티-브랜드 동일시-브랜드자 산 모형 : 이용 자와 비이용자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마 케 팅연구, 17(3), 1-33.
이은경 (2013), 스마트폰 어플리 케 이션 콘 텐츠 와 인 앱 광고 간의 맥락 일치성에 따 른 광고효과 연구, 석 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 교 일반대학 원 .
이정은 (2010), TI 광고 유형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 향 에 관한 연구 : 광고가치평 가 요소를 중심 으로, 석 사학위논문, 홍 익대학 교 대학 원 .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5. 9. 28. 09:09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3.3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연구대상 변 수인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클릭의도, 구매의도, 혁신성 측 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 석 하기 위하여 요인분 석 을 하고 신뢰도 분 석 을 진행하여
Cron b a c h ' s Alpha 값을 구하였다. 요인분 석 의 경 우 에는 단일 척 도를 가정하였고, 주성분 분 석 으로 요인적재값을 추정하였다. 또한 설문문항의 선택기 준 은 요인 적 재값 0.5/0.4를 기 준 으로 하였다.
표 5-1 참여형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참여형 광고태도 참여형 브랜드 태도 문항 요인적재 공 통성 문항 요인적재 공 통성
a 1 0.885 0.783 b1 0.949 0.825
a 2 0.892 0.795 b2 0.932 0.901
a 3 0.894 0.799 b3 0.908 0.868
a 4 0.845 0.713
KMO 측 도 0.832 KMO 측 도 0.742 B artlett 의
구형성 검정
유의 확률
0.000
B artlett 의 구형성 검정 유의 확률
0.000
고유값 3.090 고유값 2.594
누 적 설 명 력 77.238 누 적 설 명 력 86.474
Cron b a c h ' s Alpha
0.901
Cron b a c h ' s Alpha
0.921
먼 저 참여형에서의 광고태도를 요인분 석 한 결과, 다른 변 수와 변 수들 간의 상관 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KMO 측 도는 0.832를 나타내었고 0.7 이상의 값을 가졌 기에 양 호한 것으로 판 단할 수 있다. 또한 B artlett 의 구형성 검정의 유의 확률 이 기 준 치인 0.05보다 작은 0.000이므로 요인분 석 사용에 적 합 한 것으로 나타났고, 추 출된 요인에 의하여 설 명 되는 비 율 을 나타내는 공 통성은 모든 항목이 0.4 이상의 값을 나타냄으로서 제외하는 것 없 이 그대로 진행 가능하다고 판 단할 수 있다.다음으로 요인의 설 명 력을 나타내는 누 적 설 명 력을 보면, 77.238의 값을 가지어 60 % 이상의 누 적 설 명 력을 보였기에 높은 요인 설 명 력을 가졌다고 판 단할 수 있 고, 고유값은 1.0 이상인 3.090을, 요인 적재값은 모두 0.8 이상을 나타내었기에 타 당도는 양 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계수를 나타내는 Cron b a c h ' s Alpha 값은 0.901이 나와 측 정도구의 내적 일치도는 양 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참여형에서의 브랜드 태도를 요인분 석 한 결과, KMO 측 도는 0.742를 나타내었고

 

0.7 이상의 값을 가졌기에 양 호한 것으로 판 단할 수 있다. 또한 B artlett 의 구형성 검정의 유의 확률 이 기 준 치인 0.05보다 작은 0.000이므로 요인분
석 사용에 적 합 한 것으로 나타났고, 추출된 요인에 의하여 설 명 되는 비 율 을 나타 내는 공 통성은 모든 항목이 0.4 이상의 값을 나타냄으로서 제외하는 것 없 이 그대 로 진행 가능하다고 판 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요인의 설 명 력을 나타내는 누 적 설 명 력을 보면, 86.474의 값을 나타내어 60 % 이상의 누 적 설 명 력을 보였고 높은 요인 설 명 력을 가졌다고 판 단할 수 있다.
고유값은 1.0 이상인 2.594을 나타냈고, 요인 적재값은 모두 0.9 이상을 나타내었 기에 전 체적으로 타당도는 양 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계수를 나타내는 Cron b a c h ' s Alpha 값은 0.921이 나와 측 정도구의 내적 일치도는 양 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2 참여형 클릭의도, 구매의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참여형 클릭의도 참여형 구매의도 문항 요인적재 공 통성 문항 요인적재 공 통성 c1 0.943 0.890 d 1 0.923 0.852
c2 0.945 0.894 d 2 0.936 0.877
c3 0.933 0.871 d 3 0.939 0.881
KMO 측 도 0.767 KMO 측 도 0.762 B artlett 의
구형성 검정
0.000
B artlett 의 구형성 검정
0.000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5. 9. 28. 09:07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2 측정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표 4-1 측정변수 기술통계
변 수 최 소값 최 대값 평균 표 준편 차 평균 순위 참여형
광고태도
1.0000 4.5000 2.1449 0.9190 7
참여형 브랜드 태도
1.0000 5.0000 2.2663 0.9830 6
참여형 클릭의도
1.0000 5.0000 2.0671 1.0789 8
참여형 구매의도
1.0000 5.0000 2.0653 1.0178 9
정보고지형 광고태도
1.0000 5.0000 3.1776 0.8841 2
정보고지형 브랜드 태도
1.0000 5.0000 3.2137 0.9309 1
정보고지형 클릭의도
1.0000 5.0000 2.9419 1.0266 4
정보고지형 구매의도
1.0000 5.0000 2.9828 0.9741 3
혁신성 1.0000 5.0000 2.8762 0.9259 5
위의 표는 참여형과 정보고지형 광고 하에서 종속변 수인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클릭의도, 구매의도와 조절 변 수인 혁신성의 최 소값, 최 대값, 평균, 표 준편 차, 평균 순위의 기 술 통계를 정리한 표이다.

 

위 표에 따르면, 정보고지형에서의 브랜드 태도가 평균 3.2137로 가장 높게 나 왔
으며, 두 번째는 정보고지형에서의 광고태도가 평균 3.1776을 나타냈고, 세 번째는 정보고지형에서의 구매의도로 평균 2.9828를 나타냈다. 네 번째로 정보고지형 클 릭의도는 평균 2.9419, 다섯 번째, 참여형 브랜드 태도는 평균 2.2663, 여섯 번째,참여형 광고태도는 평균 2.1449, 일곱 번째는 참여형 클릭의도는 평균값이 2.0671, 마지막으로 참여형에서의 구매의도가 평균 2.0653을 기 록 하였으며 종속변 수 중 가 장 낮 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조절 변 수인 혁신성은 평균 2.8762를 나타내었으며, ‘보통이다 ’ 보다 약간 낮 은 수 준
을 보였다.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5. 9. 26. 22:01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1.3.3 클릭의도
광고의 클릭의도는 정 확 하게 내려진 개 념 적 정의는 없 지만 수용자가 보다 많은 정 보를 얻기 위해 광고를 클릭하고자 하는 의 향 (이은경, 2013)으로 광고를 클릭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의도로 정리할 수 있다.
인터 넷 의 발 전 과 함 께 광고효과의 지표로써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를
측 정하는 연구들은 다수 이루어졌지만 광고 클릭의도를 측 정하는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져있지 않 은 상태이다(앙흐 토야 , 2014).
B r igg s , Holl i s 는 클릭 율 은 소비자의 특성에 좌 우 되는 것 임 을 지적하였고 클릭이 일어나지 않 고 단순노출만으로도 광고에 대한 태도와 제 품 에 대한 태도에 영 향 을 미치며, 홈페 이지에 게제된 배 너광고에 대한 이용자들의 우 연한 노출은 홈페 이지에 광고된 브랜드가 소비자 지 각 에 즉 각 적인 파 급 효과( I mm ed i ate effe c t )를 미쳐 브랜 드 인지, 애호도, 구매의도에 영 향 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B r igg s , Holl i s , 1997).
또한 이신희(2002)의 연구에 따르면, 클릭 율 이 광고태도에 직 접 적 또는 간 접 적 영
향 을 미 친 다고 하였으며, Mont g o m ery et al .(2004)은 클릭스트 림 데이터의 경로로부 터 정보를 추 론 하여 온 라인 상점에서의 구매 여부를 예측 할 수 있기에 이동의 경로 를 고려하는 것은 구매 확률 예측 에 도 움 이 된다고 하였다(한 송 이, 2013).

 

posted by 조현정팀장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