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케이블방송 티비연결 딜라이브 씨제이 팀장님과 함꼐 만나요!!!!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15. 10. 2. 09:11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Ⅲ. 조선시대 孝 사상의 흐름
본 장에서는 유교를 국가의 근본이념으로 하던 조선시대에 효사상이 어떠한 모습으로 확산되어져 갔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조선은 고려 말에 등장한 주자학적 유교주의를 건국이념으로 채택하였다.
조선은 관료귀족과 승려귀족의 폐해와 민란등 사회적 불안 요소를 극복하기 위해 중앙집권적인 강력한 통치체계를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정치적 인 이유로 효는 더욱더 필요한 실천적인 행동규범으로 체계화되기 시작했 다. 31)
조선의 유교정책은 인간윤리의 근본인 효도를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선에 접어들면서 유교의 최고 교육기관인 성균관이나 서울의 사부학당, 그리고 지 방의 향교와 서원 등에서 본격적으로 유교교육을 실시했고, 가례를 비롯한 여 러 가지 유교적 예제가 정비되는 한편, 유가적인 입장에서 본 반윤리적인 행 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경국대전을 비롯한 여러 가지 법전을 마련함으로써 명 실상부한 유교국가의 체제를 정비 강화하여 나갔다. 또한 전국 방방곡곡에서 가장 뛰어난 효자, 효부, 효녀 등을 뽑아서 크게 표창하는 한편 향약제도의 실현을 통해서 효도사상을 선양하는 등 유교의 생활화, 토착화를 위하여 범국 민적인 운동을 전개했다. 32)
위에서 볼 수 있듯이 국가 주도적으로 이루어진 효 중심적 정책 아래 양반 에서부터 상민에 이르기까지 효는 보편적인 윤리로 자리 잡게 되었다. 더구나 교육적으로도 효를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교육기관이 생겼 고 지방의 교육 또한 왕성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어서 효의 보급에 있어서는 전성기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31) 손인수, 『한국인의 가치관』, (서울: 문음사, 1984), p. 133.
32) 최종근, 『경로사상과 노인문제』, (서울: 경원문화사, 1987), pp. 75~76.
- 14 -고려와의 연결고리를 끊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던 조선은 불교, 도교 등의 이교(異敎)를 철저히 배격하고 숭유정책을 치국의 근본으로 삼아 나라의 기틀 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그리하여 사회규범, 가정제도, 교육, 문화 등 사회전 반에 걸쳐서 유교에 기반을 두게 되었고, 각 개인의 사고방식, 교양 및 행위규 범도 유교적인 것으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윤리면에서도 자연히 유가윤리의 규범인 오륜(五倫)과 삼강(三綱)이 강조되었다.
유교의 사상적 특성이 윤리의 강조에 있었고 유교윤리의 내용은 삼강오륜으 로 요약될 수 있으며 유교적 교화활동은 결국 삼강오륜의 내면화교육이라 해 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의도들은 다음에 열거되어지는 책들을 통해서도 읽을 수 있다.
세종조에 계순(韓繼純,1431~1486. 자는 수옹(粹翁)) 등이 찬(撰)한 『삼강행실 도(三綱行實圖)』. 중종조의 조신(曺伸. 생몰년대불명. 자는 숙분(叔奮). 호는 적암 (適庵))이 찬한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 광해조에 유근(柳根.1549~1627. 자 는 회부(晦‘). 호는 서경(西坰) · 고산(孤山)) 등이 찬한 『동국신속삼강행실(東國 新續三綱行實)』, 정조조에 이병모(李秉模,1742~1806. 자는 이칙( 則). 호는 정 수재(靜修齋))가 전기(前基)『삼강행실도』와『이륜행실도』를 합하여 개편한 『오 륜행실도』등이 발간 반포되었는데, 33) 이들은 모두 효자 충신 열녀의 순서로 기록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조선시대에 있어서 효가 정치적 사회적 질서 의 근본적인 규범관념으로 인식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역대 위정자들이 효를 근간으로 한 오륜의 확산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이의 실천을 장려하기 위한 서책을 간행 보급시켰고, 교육에 있어서는 명륜 (明倫)을 주 내용으로 하는 『소학』이 중시 34) 되었던 사실이 이를 잘 증명해
33) 김원용, 「三綱行實圖行攷」, 『동서문화』제4집, (서울대 부설 동서문화연구소, 1965), pp.
97~120.
34) 權近, 金宏弼, 趙光祖 등 조선 전기의 인물들과 조선조 유학의 쌍벽을 이루었던 퇴계, 율곡을 비롯하여 김장생, 송시열 같은 학자들이 모두 小學을 독서의 첫 번째 순서로 삼아야 한다고 가르쳤으며, 특히 율곡은 『小學』을 四書와 합쳐서 五書라 부를 정도로 중시하였다.

 

posted by 조현정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