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케이블방송 티비연결 딜라이브 씨제이 팀장님과 함꼐 만나요!!!!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15. 10. 3. 13:58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敎材名 著者 編輯國 刊行年代 內容 海東續小學 朴在馨 〃 1884 倫理, 立敎, 嘉言, 善行 蒙語類訓 李承熙 〃 1888 倫理, 天道, 人道, 王統, 星學, 人物 蒙彙編 〃 〃 1905 天道, 地道, 人道, 博物, 歷史 東國史略 玄采 〃 1906 歷史 蒙語 郭鍾錫 〃 1924 倫理, 天理, 地理, 人道 初學必知 洪鍾珏 〃 1927 自然, 人倫, 聖賢 訓子篇 柳永善 〃 未詳 倫理, 禮節, 學則 四蒙輯要 鄭光淑 〃 未詳 倫理, 天文, 地理, 自然, 學問 啓蒙篇 未詳 中國 未詳 自然, 博物, 人倫 訓兒遊覽 未詳 〃 未詳 事文의 類聚 蒙求 李澣 〃 746(唐) 倫理, 嘉言, 善行, 聖賢 小學 朱熹 〃 1187 倫理, 立敎, 敬身, 嘉言, 善行 童蒙須知 〃 〃 1187年頃 倫理, 禮節, 修身, 讀書要訣 童子習 朱逢吉 1404 倫理, 禮節, 修身, 學問要訣 孝經 曾子門人 未詳 倫理, 孝道
여기에서 보여 지는 교재들이 모두 효를 이야기하고 있다고는 단정 지을 수 는 없다. 그러나 이 교재들의 이면에는 유교를 조선 통치의 근간으로 하고자 하는 확고한 의지가 담겨져 있으며 유교의 기본이념이 어린 시절부터 철저히 교육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교재들 중에서 조선시대 보편적으로 읽혔던 효와 관련된 서적들을 살펴볼 것이다.
1. 『효경(孝經)』
중국에서는 전국 말기에 이미 『효경』이란 서책이 있었음을 알 수 있는 데,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통일신라 초기에 비로소 이에 관한 기록을 찾아 볼 수 있다. 50)『효경』이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정식으로 다루어지

게 된 것은 신라의 국 학에서 『논어』와 함께 『효경』이 필수과목으로 다루어졌다는 기록에서 볼 수 있다. 그리하여 국자학생(國子學生)이나 과거 응시자의 기본 교양으로 선정 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군주로부터 지식인, 관리는 물론 보통가정의 어린아 이에 이르기 까지 반드시 읽어야 할 경전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와서 주자의 『소학』이 기초적인 필수 윤리교과서로 정립됨에 따라 고려시대 이래 유가의 실천윤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 던 『효경』은 『소학』보다도 그 중요성이 희박해진 느낌을 주는데, 이는
『소학』이 사대부나 당시 지식인의 필수 교양화됨에 따라 『효경』은 그만큼 효용 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효경』이 『소학』에 비해 보다 추상 적이며 관념적이어서 유가의 제반 생활규범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었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효경』은 조선후대에 와서도 전통적인 경전으로서의 위치를 지속 하고 있었다. 왕세자를 교육하는 자리에서 『효경』의 강의는 지속되었으며 유자의 필수적인 교양으로서도 그 필요성이 재인식되었던 것이다. 51)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숭상하던 조선의 기본이념을 『효경』이라는 책을 통해 잘 이끌어 가고 있었던 것이다.
『효경』에서 효가 발생하게 된 계기와 그 내용을 보면, “신체발부는 모두 그 부모로부터 받은 것이니 감히 이것을 훼상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효의 시작 이며, 입신행도(立身行道)하고 후세에 양명(揚名)하여 부모를 빛내는 것이 효 의 마침이다. 대저 효는 부모를 섬기는 데서 시작하여 다음으로 임금을 섬기 고 입신으로 끝을 맺는다” 52) 라고 하였듯이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에서 발생하
50) 이희덕(1995), 같은 논문, p. 188.
51) 같은 논문, p. 322.
52)『孝經』,「開宗明義章」, “身體髮膚受之父母不敢毁傷孝之始也. 立身行道揚名於後世以顯父母 孝之終也. ‘孝始於事親中於事君終於立身.”

posted by 조현정팀장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