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평(2008)은 사회적지지가 제공하는 자원을 다섯 가지로 제시했는데, 첫째, 상호작용적인 환경을 제시함으로써 자신의 성격과 특성에 대해 깨닫고 자신의 독특함을 인식하게 해주는 자아감을 형성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사람들에게 그들이 가치가 있으며 중요한 존재라는 긍정적 피드백을 주고 행동변화에 필요한 격려와 지지를 제공한다. 셋째, 스트레스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완충제 역할을 함으로써 사람들이 스트레스 요인에 좀 더 성공적 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유용한 정보와 기술 그리고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구체적인 문제해결을 도울 수 있다. 다섯째, 사람들이 사회적 소외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며 긍정적인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고 강화할 수 있도록 사회화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하였다.
심승원(2000)은 청소년기에 있어서 주요한 사회적지지원은 부모, 친구, 교사 이며, 사회적지지를 타인들로부터 받는 사랑이나 인정, 정보, 물질적 원조 등사회적 관계를 토해 타인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긍정적 자원으로 정의했다. 부모 지지란 부모와의 의미있는 상호작용의 결과로 얻게 되는 긍정 적인 모든 자원을 말하는 것으로 심리적 적응을 돕고, 좌절을 극복하게 해주 며, 문제해결의 도전을 받아들이는 능력을 강화해 주는 것이며(김정애, 1994), 친구 지지는 친구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기쁨이나 즐거 움, 친밀감, 심리적 안정감 등의 긍정적 자원으로 정의하며, 교사 지지는 학교 에서 생활하는 가운데 교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적 도움이나 관심, 인정 등의 긍정적 자원으로 정의했다(노필순, 윤혜미, 2007).
- 21 -
. 가족건강성이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효돈 이용률 보통
학위논문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6.2 TD 361 -16-330 석박사학위논문실(107호) 학위논문(박사)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셋째, 자아효능감의 일반성은 특정의 상황이나 과제에서 자아효능감이 어느 정도범위의 (0) | 2017.03.13 |
---|---|
자아효능감이란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일련의 행위들을 (0) | 2017.02.28 |
기타 사람들에 의해 제공되는 여러 형태의 도움과 원조라고 정의하였으 (0) | 2017.02.26 |
가족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면서 가족원 간의 유대, 가족원 간의 의사소통, 가족의 문제해결능력 (0) | 2017.02.25 |
가족건강성이란 가족원 개개인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고, 가족원간의 상호작용 (0) | 2017.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