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케이블방송 티비연결 딜라이브 씨제이 팀장님과 함꼐 만나요!!!!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17. 2. 27. 01:00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피드백, 사회적인 비교, 개인의 행동과 그 결과에 대한 자기평가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 평가적지지 마지막으로, 필요시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으로 구체적인 형태로 제공되는 돈, 물품, 시간 등의 자원을 포함하는 물질적지지 등 네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고기평(2008)은 사회적지지가 제공하는 자원을 다섯 가지로 제시했는데, 첫째, 상호작용적인 환경을 제시함으로써 자신의 성격과 특성에 대해 깨닫고 자신의 독특함을 인식하게 해주는 자아감을 형성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사람들에게 그들이 가치가 있으며 중요한 존재라는 긍정적 피드백을 주고 행동변화에 필요한 격려와 지지를 제공한다. 셋째, 스트레스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완충제 역할을 함으로써 사람들이 스트레스 요인에 좀 더 성공적 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유용한 정보와 기술 그리고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구체적인 문제해결을 도울 수 있다. 다섯째, 사람들이 사회적 소외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며 긍정적인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고 강화할 수 있도록 사회화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하였다.
심승원(2000)은 청소년기에 있어서 주요한 사회적지지원은 부모, 친구, 교사 이며, 사회적지지를 타인들로부터 받는 사랑이나 인정, 정보, 물질적 원조 등사회적 관계를 토해 타인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긍정적 자원으로 정의했다. 부모 지지란 부모와의 의미있는 상호작용의 결과로 얻게 되는 긍정 적인 모든 자원을 말하는 것으로 심리적 적응을 돕고, 좌절을 극복하게 해주 며, 문제해결의 도전을 받아들이는 능력을 강화해 주는 것이며(김정애, 1994), 친구 지지는 친구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기쁨이나 즐거 움, 친밀감, 심리적 안정감 등의 긍정적 자원으로 정의하며, 교사 지지는 학교 에서 생활하는 가운데 교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적 도움이나 관심, 인정 등의 긍정적 자원으로 정의했다(노필순, 윤혜미, 2007).
- 21 -

. 가족건강성이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효돈 이용률 보통

학위논문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6.2 TD 361 -16-330 석박사학위논문실(107호) 학위논문(박사)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7. 2. 26. 00:30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이웃, 기타 사람들에 의해 제공되는 여러 형태의 도움과 원조라고 정의하였으 며, 한미현(1996)은 타인들로부터 받은 사랑이나 인정, 정보, 물질적 원조 등사회적 관계를 통해 타인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으로 정의 하였다. 김지혜(1998)는 사회적지지를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개인에게 제공되는 사회적 행위 또는 태도로서, 개인의 기능을 강화하고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 의도를 갖는 것이라고 하였다.
국외의 학자들의 사회적지지에 대한 정의는 사회관계망 속에서의 관계와 긍정적인 자원으로서의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있다(Cobb. 1976; Cohen & Hoberman, 1983; Kaplan et al,, 1977; Nolten, 1994; Thoits, 1982). 우선 Cobb(1976)은 사회적지지의 개념과 기능 및 효과를 분명하게 규명하였으며, 사회적지지를 자기 자신이 사랑과 돌봄을 받고 존중되며 가치 있다고 여겨지 거나 의사소통 관계망이나 상호 의미의 일원이라고 믿어지도록 하는 정보의 구성요소로 정의하였다. Kaplan et al.,(1977)는 사회적지지를 의지할 수 있는 사람, 돌보아 주고 사랑하고 가치 있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사람의 존재나 이용 가능성으로 정의하고 있다. Thoits(1982)는 모든 사람은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만족될 수 있는 애정, 인정, 소속 및 안정에 대한 욕구가 있으며, 이 욕구는 주위로부터의 사회적지지를 통해서 만족될 수 있다고 주장 하였다. Cohen & Hoberman(1983)은 사회적지지를 한 개인이 그가 가진 대인 관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으로 정의하였으며, Nolten(1994) 는 사회적지지를 부모, 또래, 교사 등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개인에게 제공되는 친사회적 행동 또는 태도라고 하였다.
Cobb(1976)은 사회적지지를 정서적지지, 자존감지지, 관계망 지지로 구분하 였다. 즉 보호받고 사랑받고 있음을 믿게 하는 정서적지지, 가치 있음을 믿게 하는 자존감지지, 대화할 수 있고 상호 의무가 있는 관계에 속한 구성임을 믿게 해주는 관계망 지지를 포함시켰다.
- 19 -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7. 2. 25. 02:00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성은 가족구성원이 문제나 위기에 처했을 때 대처할 수 있도록 돕고 다음 세대가 행복하고 성공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였다.
최근 가족건강성은 가족 안에 잠재되어져 있는 가능성과 발전성, 가족을 둘러싼 외부환경과의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자원 등 가족의 발전성을 중심으로 개념을 정의하는 경향이 있다(최희진·유영주, 2004). 따라서 가족을 중심으로 가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부모자녀 관계뿐만 아니라 모든 가족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면서 가족원 간의 유대, 가족원 간의 의사소통, 가족의 문제해결능력, 가치체계 공유 등의 하위요인들을 포함한 가족건강성을 도입하여 가족의 역기능 개선과 예방을 중심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지금까지의 이론의 공통적 특징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는데 첫째, 건강한 가족은 가족원의 개별성을 인정하면서도 가족원간의 유대와 결속을 도모하고 둘째, 분명하고 긍정적인 대화를 나누며 셋째, 가족문제나 위기를 잘 해결하고 그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며, 마지막으로 가족의 공통된 가치 관과 규칙이 있다. 즉 건강한 가족은 가족원 개개인의 자아개발·성취와 더불어 상호작용을 통한 공동체적 유대성이 균형 있게 유지되어야 한다(한영민, 2008).
이와 같은 가족건강성의 개념을 종합해 보면 건강한 인간을 만들어내는 근원적 집단이 가족이라고 할 때 건강한 가족 환경의 조성은 가족구성원 각자의 정체성 확립과 소속의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이후 외부 환경의 어려움에도 대처할 수 있는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3. 사회적지지의 관련 요인
인간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생활하게 되며, 타인 으로부터 받게 되는 다양한 자극은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때 타
- 17 -. 가족건강성이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효돈 이용률 보통

학위논문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6.2 TD 361 -16-330 석박사학위논문실(107호) 학위논문(박사)

posted by 조현정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