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onal identity)과 자아정체감(ego-identity)이다. 개인적 정체성이란 어떤 개인이 그가 놓여진 상황이나 시대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다른 모습으로 존재할 지라도 ‘여전히 ~로서의 나’라고 하는 근본적인 존재는 변함이 없다는 것에 대한 인식을 가리키는 것으로 ‘자기 자신의 동질성과 지속성에 대한 지각’ 을 의미한다.
자아정체감이란 개인적 정체성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자기 자신이 시공을 초월해서 언제나 동질적이고 연속적인 존재하고 하는 사실 그 자체에 대한 단순한 인식 이상의 것으로 동질성과 연속성을 유지하면서도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새롭게 부딪치는 내적 충동이나 욕구들, 외적인 자극들, 그리고 도덕적 가치 등을 수용하여 자기 나름대로의 독특한 방식으로 자신을 재통합 하는 것을 말한다(황인실, 2004).
개인의 자아정체감은 4개의 기본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인간성 차원은 각 개인은 인간이라는 느낌 둘째, 성별 차원은 남성 혹은 여성이라는 느낌 셋째, 개별성 차원은 각 개인은 독특하다는 느낌 넷째, 계속성 차원은 시간의 경과에도 동일한 사람이라는 인식 등이 그것이다. 안정된 정체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신체적ㆍ성적 성숙, 추상적 사고능력의 발달, 정서적 안정이 선행 되어야 하며, 동시에 부모나 또래 집단의 영향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울수 있어야 한다(이철수, 2009).
Erickson(1968)은 자아정체감은 “개인의 자아가 그의 인격체계(즉, id, ego, superego)를 통합하는 방식에 있어서 동질성과 연속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동시에 자신의 자아통합화(ego-synthesis)의 방식이 자기가 타인에게 주는 개인적 의미의 동질성과 연속성을 견지해 나가는 게 유효하다는 것을 또한 아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한편 자아정체감 검사지를 제작한 Dignan(1965) 에 의하면 자아정체감은 사회적 상호작용들을 통하여 형성, 발달되는 것으로 써, 자기를 시사해 주는 자기 창조적 심성의 복합(self-referent images)이라고
- 11 -
. 가족건강성이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효돈 이용률 보통
학위논문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6.2 TD 361 -16-330 석박사학위논문실(107호) 학위논문(박사)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건강성이란 가족원 개개인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고, 가족원간의 상호작용 (0) | 2017.02.24 |
---|---|
청소년들은 성인기로의 이행 과정에서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김미숙, 2008). (0) | 2017.02.23 |
청소년이란 용어는 라틴어 adolescere에서 유래된 것으로 성장 또는 성숙으 (0) | 2017.02.21 |
개인의 행동선택에 지침이 된다. 우리는 그 상황에서 객관 적인 조건들과 일치하지 (0) | 2017.02.20 |
자아정체감은 경험과 인지를 통해서 형성되고 또한 도전하는 일에서 성공을 거둘 때 자신감이 (0) | 2017.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