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 실체가 아니라 환경 속의 인간으로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므로 가족의 정서적 건강, 개인의 만족, 대처, 적응 그리고 심리사회적 조정을 위하여 사회의 전반적 지지가 필수조건이다(임은희, 2008).
이와 같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건강성은 사회적지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가족건강성과 자아효능감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은 가족의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Rohner (1991)의 연구에서 부모와의 안정된 의사소통 관계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효능감을 높인다고 하였고, 신향숙과 장윤옥(2001)의 연구에서도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친근하고 애정적이며 책임감 있는 합리적 의사소통 유형이라고 지각할 때, 청소년의 자아효능감이 높다고 보았다. 또한 윤미애와 오윤자(2005) 는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이 기능적일 때 자녀의 자아효능감이 높다고 하였 고, 김희수·홍성훈(2006)의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개방적 의사소통을 하는 청소년의 자아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가 자녀에게 애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성취감을 부여하며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도록 허용하 면, 자녀의 자아효능감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오윤자, 2004; 이정연·이창 숙, 2002, 재인용).
노호은(2000)의 연구에서도 자녀가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때 자녀의 자아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조희숙(2007)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효능감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다고 하였고, 장경선(2006)의 연구에 서는 아버지가 애정적인 양육태도를 보일 때 어머니가 자율적인 양육태도를 가질 때 자아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지지는 청소년의 자아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신혜정, 2005). 이정연과 이창
- 28 -. 가족건강성이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효돈 이용률 보통
학위논문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6.2 TD 361 -16-330 석박사학위논문실(107호) 학위논문(박사)
22페이지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윤화(2003)는 청소년의 자아상과 가정의 심리과정적 변인과의 구조적 (0) | 2017.03.17 |
---|---|
여금 제약없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양육태도를 취할 (0) | 2017.03.16 |
부부관계 등 다양한 측면을 살펴본 기존의 연구(전귀연, 1993; 정종권, 1998 (0) | 2017.03.14 |
. 셋째, 자아효능감의 일반성은 특정의 상황이나 과제에서 자아효능감이 어느 정도범위의 (0) | 2017.03.13 |
자아효능감이란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일련의 행위들을 (0) | 2017.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