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케이블방송 티비연결 딜라이브 씨제이 팀장님과 함꼐 만나요!!!!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15. 9. 29. 21:00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방민서 (2013), 모바일을 이용한 패션상 품 구매자의 개인적 특성이 모바일 쇼핑
수용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 , 석 사학위논문, 한 양 대학 교 대학 원 .
배 정민, 김 미정, 이춘수 (2010), 한 류 가 중 국소비자의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 향 에 관 한 실 증연구: 음식제 품 및 음식기업이미지 중심 으로, 현대 중 국연구, 11(2), 123-155.
서창 교 , 정 석 주 (2004), 개인 특성이 인터 넷 쇼핑몰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 향 , 경영 정보학 연구, 14(3), 1-22.
손공 동 (2002), 모바일 광고 기법에 따른 수용자 반 응 연구, 석 사학위논문, 홍 익대
학 교 광고 홍 보대학 원 .
신일기, 최 수형, 신현신 (2011), 모바일 광고의 상호작용 구성요인이 모바일 광고 수용에 미치는 영 향 : 몰 입과 침 입성을 매개 변 인으로, 한국디자인포 럼 , 33, 299-308.
안 광호, 유창조 (2002), 광고 원론 , 서울: 법문사.
안 대천, 김 상 훈 (2009), 수정된 기 술 수용모 델 ( Te c hnolo g y A cc eptan c e Model )을 적 용한 모바일광고 수용의도연구 : 성 별 요인( Gender )의 조절효과, 광고학연 구, 20(4), 171-188.
안 대천, 김 상 훈 (2010), 수용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모바일 광고태도 및 매체이용 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 홍 보학보, 12(1), 184-220.
앙흐 토야 (2014), 페 이스 북 광고유형이 클릭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 : 브 랜드 관여도 및 페 이스 북 관여도 조절효과를 중심 으로, 석 사학위논문, 한 성대학 교 대학 원 .양병화 , 김 영 찬 (2008), 모바일 광고효과에 대한 상호인과성 모형 연구: 광고 커뮤 니케 이션과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융 합 , 광고학연구, 19(3), 157-171.
양 윤, 강승숙 (2002), 충 동구매경 향 성에 따른 소비자의 혁신성 향 과 정보탐색에서의 차이, 광고연구, 1(57), 53-74.
오 두 범 (1998), 광고학 원론 , 서울: 전예원 .
오 두 범 (2003), 광고와 현대사 회 , 서울: 전예원 .
왕효무 (2009),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 에 관한
실 증적 연구 : 브랜드 이미지의 하위요소를 중심 으로, 석 사학위논문, 강남
대학 교 대학 원 .
유동구 (2013), 소비자의 시간적 거 리 감 에 따른 광고메시지 유형의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석 사학위논문, 홍 익대학 교 산 업대학 원 .
유상진, 김 효정, 정익재, 서창 교 (2006), 모바일 광고의 현황 및 수용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 산 업경영학 회 발표논문집, 641-661.
유제국 (2001), 모바일광고 현황과 시사점, 정보통신정 책 , 13(14), 27-43.
유진영 (2008), 모바일 광고 유형과 이용가치에 따른 수용자 태도 변화 연구, 석 사 학위논문, 홍 익대학 교 광고 홍 보대학 원 .
윤상현 (2000), 관여수 준 에 따른 인터 넷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 상호작용성 (i ntera c t i v i ty )을 중심 으로, 석 사학위논문, 연세대학 원 대학 원 .
윤관희 (2012), 녹색제 품 의 특성이 효과성 지 각 과 제 품 태도에 미치는 영 향 에 관한 연구 : 환경가치 지 향 성의 조절효교 대학 원 .
이동건 (2006), 브랜드개성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 향 에 관한 연구 : 관여도 유 형을 조절 변 수로, 석 사학위논문, 경희대학 교 대학 원 .
이두희 (2002), 광고 론 , 서울: 박 영사.
이 명 천, 김 요한 (2010), 광고학개 론 , 서울: 커뮤니케 이션 북 스.
이 병 관, 조은현 (2009), 신제 품 수용에 미치는 소비자의 혁신성과 조절초점의 효과 연구, 광고학연구, 20(1), 127-143.
이 승준 (2003), 특집: 이제 광고도 모바일 ! /성장 배 경 및 특징, 광고정보, 265, 9-13.
이시 훈 (2009), 인터 넷 과 모바일광고의 변화 와 표 준화 , 한경사.
이시 훈 (2010), 모바일 광고 연구경 향 과 이 론화 , 커뮤니케 이션이 론 , 6(1), 6-49.
이신희 (2002), 푸 시기 술 을 이용한 웹 배 너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석 사학위논문,
강원 대학 교 정보과학대학 원 .
이유재, 라선아 (2002), 브랜드 퍼스 낼 리티-브랜드 동일시-브랜드자 산 모형 : 이용 자와 비이용자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마 케 팅연구, 17(3), 1-33.
이은경 (2013), 스마트폰 어플리 케 이션 콘 텐츠 와 인 앱 광고 간의 맥락 일치성에 따 른 광고효과 연구, 석 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 교 일반대학 원 .
이정은 (2010), TI 광고 유형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 향 에 관한 연구 : 광고가치평 가 요소를 중심 으로, 석 사학위논문, 홍 익대학 교 대학 원 .

 

 

posted by 조현정팀장
2015. 9. 23. 09:14 시사정보

위의 연구 외에도 모바일 광고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모바일 광고의 유형 과 수용의도에 초점을 두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모바일 광고의 연구 범 위가 한 쪽
으로만 편중 되어 있는 실 정이고 또한 스마트 기기를 넘 어서 웨 어러 블 시대를 바라 보고 있는 현 시대에 맞지 않 게 많은 연구들이 아직 피처폰이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모바일 광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실 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피처폰에서는 이용할 수 없 었던 앱 기반의 페 이스 북 광고를 실 험 자 극물 로 사용하여 두 가지 소구기법(정보고지형, 참여형)의 모바일 광고가 노출 되어지는 상황에서 피 실험 자들의 혁신성 수치의 평균을 기 준 으로 높은 집단을 혁신 자, 낮 은 집단을 비혁신자로 구분하고 소비자 혁신성에 따라 모바일 광고 소구기법 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 향 과 차이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첫 번째, 모바일에서 진행되고 있는 광고의 개 념 과 유 형 및 수용의도 등과 관 련 된 선행 연구들에 대한 심 도있는 고 찰 이다.
현재 학계에서는 표 준 으로 정한 모바일 광고의 개 념 및 유형 등에 대한 명확 한 기
준 이 없 기에 각 연구자들마다 본인들의 연구에 적 합 하게 끔 모바일 광고에 대해 정 리하고 있어 모바일 광고에 대한 여러 개 념 과 구분 방식들이 난 무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광고라는 개 념 이 나 온 지 오래 되지 않 았기에 이 분 야 에 대한 연구가 여 러 방면으로 활 성 화 되어 있지 않 은 실 정이고 앞 서 언급 한 것처 럼 대부분의 연구가 모바일 광고의 유형과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이고 모바일 광고 소구기법에 대한 연 구는 현재 거 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 고 있기에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 메시지 유형에 따른 분 류 와 상호작용성이 결 합 한 개 념 인 모바일 광고 소구기법에 중 점을 두고 연 구함으로써 국한되어 있던 모바일 연구의 폭을 넓히는데에 의의가 있다.
두 번째, 조절 변 수로 소비자 혁신성을 투입하여 각각 의 모바일 광고 소구기법에 따른 광고효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실 증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선행 연구 에서 기 각 된 참여형 광고에 대한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고자 한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는 단순히 ‘정보고지형 보다 참여형 광고에서 더 높은 광고효과 를 나타 낼 것이다'라는 가설을 부분 증 명 한데에 그 친 것에 반해 본 연구는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소비자 혁신성을 조절 변 수로 적용하여 모든 수용자들이 참여형 광고에서 더 큰 반 응 을 보이는 것이 아닌 혁신성으로 분 류 한 각 집단에 따라 더 큰 반 응 을 보이는 광고 기법이 다르다는 것을 증 명 하는데에 의의가 있다.
즉, 새로운 일을 시도하고 수행함에 있어 기존 방식과는 다른 방식을 취하고자 하 는 혁신자 집단은 참여형 광고에서 더 큰 반 응 을 보이고, 위 험 을 회 피하려는 성 향 이
강 하기에 다 양 한 정보를 얻기를 원 하는 비혁신자 집단은 정보고지형 광고에서 더 큰 반 응 을 보이는지 연구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써 모바일 광고를 집행할 시에 보다 효 율 적인 예산 집행과 효과적인 광고효과를 얻기 위하여 각 집단의 특성에 맞는 차
별화 된 광고 집행이 선행되어 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 공 하고자 한다.

 

posted by 조현정팀장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