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케이블방송 티비연결 딜라이브 씨제이 팀장님과 함꼐 만나요!!!!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17. 2. 19. 01:00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합적인 하나의 단위로 바라보는 가족전체성(family wholeness)의 개념이다. 즉, 가족건강성은 가족이 건강한 정도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가족원 개인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고 가족원간의 상호작용이 올바르고 적합하여 집단으로서의 가족체계를 잘 유지하고 있는 정도이다(강연진, 2014). 청소년에게 있어 가족은 교육과 관련하여 주요 의사결정의 주체이면서 기본적인 지식, 습관 태도 등을 습득 또는 형성해 가는 곳이기 때문에 가족의 기능인 친밀한 관계 유지와 정서적 안정감과 만족을 주는 가족의 건강성과는 매우 긴밀한 관계라고 할수 있다(강유진·문재우, 2005; 김경근, 2006).
송경희(2004)는 가족건강성(family strength)은 최근 가족에 관한 연구에서 점차 중요하게 인식되는 개념으로 건강한 사회를 유지하고 개인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는 것 있어 가족의 중요성이 간과되어서는 안된다고 하였으며, Otto(1975)는 건강한 가족은 가족원의 자원과 잠재성을 발전시켜 가족집단과 가족원이 만족스럽고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힘과 역동적인 요인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서, 가족원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고 가족원간의 상호작 용(의사소통, 의사결정과정, 스트레스 대처방안 등)이 원만하고 집단의 기본가 치체계를 공유하며, 친족 및 사회체계와 원활한 상호작용을 이루며 생활한다고 하였다.
자아정체감은 경험과 인지를 통해서 형성되고 또한 도전하는 일에서 성공을 거둘 때 자신감이 형성되어 자기 스스로를 인지하는데 부모, 교사와 같이 의미 있는 사람들에게서 강한 영향을 받는다(박안석, 2003). 그러나 가정에서의 교육과 더불어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는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현실은 아직도 인성교육이나 학생들 개개인의 개성, 자율성과 창의성을 중요시하기보다는 대학진학과 취업을 위한 도구적인 목표로써 취급하며 주요 교과목 위주의 주입식 교육을 추구하는 경향이 짙기 때문에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생각을 충분히 할 기회가 많지 않다. 그 결과
- 4 -

. 가족건강성이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효돈 이용률 보통

학위논문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6.2 TD 361 -16-330 석박사학위논문실(107호) 학위논문(박사)

posted by 조현정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