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케이블방송 티비연결 딜라이브 씨제이 팀장님과 함꼐 만나요!!!!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17. 2. 20. 00:30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동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개인의 판단을 말한다. 또한 결과기대가 높다 해도 자아효능감 기대가 낮으면 행동은 일어나지 않으므로, 행동의 발생에 중요한 것은 결과기대가 아니라 자아효능감 기대이며, 모든 행동변화는 이러한 자아효능감을 통해 중재된다.
또한 Bandura(1977)는 특정한 상황에서 특수한 행동의 예언을 위해서는 그상황에서의 상이한 행동 가능성의 결과에 대하여 개인이 특수한 기대를 고려 해야 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기대들은 그 사람이 어떤 상황에서의 구조화 할수 있는 많은 것 중에서 개인의 행동선택에 지침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그 상황에서의 상이한 행동 가능성의 결과에 대하여 개인이 특수한 기대를 고려하게 되고, 이러한 기대들은 그 사람이 어떤 상황에서의 구조화할 수 있는 많은 것 중에서 개인의 행동선택에 지침이 된다. 우리는 그 상황에서 객관 적인 조건들과 일치하지 않을 때조차도 기대에 따라 행동하게 되고, 효능감기 대의 측정치들은 관련 행위를 수행하는 개인의 실제적 능력을 상당히 정확히 예언하며, 이러한 기대들의 치료적 개선은 개인을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하게 해준다고 하였다(송현옥 외, 2010).
이상과 같은 가족건강성과 자아정체감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가족건강 성과 깊은 관련이 있는 가정의 내·외적인 가정환경과 사회심리적 환경이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형성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안정되고 친애적인 가정 분위기는 자아정체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에서 논의되지 않았고, 그리고 그 동안 간과해 왔던 부분인 가족 건강성이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여러 가지 영향과 이러한 요인들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될 것으로 생각되는 매개효과인 사회적지지와 자아효능감에 관한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되지만 지금까지 밝혀진 연구와 자료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6 -. 가족건강성이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효돈 이용률 보통

학위논문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6.2 TD 361 -16-330 석박사학위논문실(107호) 학위논문(박사)

posted by 조현정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