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케이블방송 티비연결 딜라이브 씨제이 팀장님과 함꼐 만나요!!!!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17. 2. 21. 21:50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청소년이란 용어는 라틴어 adolescere에서 유래된 것으로 성장 또는 성숙으 로의 성장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청소년이란 제2차 성징이 나타나는 시기부터 개인이 사회적인 책임을 독립적으로 완수할 수 있는 성인 이전의 시기까지의 연령층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청소년기는 부모나 성인에게 의존적이던 아동기에서 독립적 생활의 영위가 가능한 성인기로 이행되어 가는 과도기이며, 생리적ㆍ심리적ㆍ사회적 변화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발달시기이다. 청소 년기의 연령 범위는 학자들의 견해를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주로 많이 사용한 연령은 만 12~23세로 사춘기의 시작에서부터 자율적인 정체감의 발달과 형성을 보이는 시기로 정의하고 있다(구혜영, 2013).
청소년기는 자신이 누구인지를 발견하고 자아정체감을 확립하는 시기로서, 자신이 맡고 있는 다양한 역할들을 조사하고 이런 역할들을 정체성으로 통합 하는 시기이다. 청소년기에 이러한 통합된 자아를 성취하려는 시도가 성공하 느냐, 실패하느냐의 여부가 그 개인의 효과적이고 건강한 적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시기에 정체성을 잘 확립한 청소년은 한 가지 선택한 일에 꾸준히 정진하고 주변 환경의 변화에도 별로 동요됨이 없이 안정감을 유지하며 행동한다. 이들은 직업선택이나 배우자 선택에 있어 대체로 남들의 이목을 의식 하지 않으며, 자기의 주관대로 결정할 수 있고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일관성 있게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이용교(2012).
일반적으로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그 어느 때 보다 많은 변화에 적응해야 하고, 많은 발달과업을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발달과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지금 까지 그들이 겪었던 스트레스보다 더 큰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경우가 많아서
- 9 -. 가족건강성이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효돈 이용률 보통

학위논문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6.2 TD 361 -16-330 석박사학위논문실(107호) 학위논문(박사)

 

posted by 조현정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