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5. 5. 00:00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위헌결정 미개정법률 현황
06.
「근로기준법」 제35조제3호
가 대상조문
「근로기준법」 (2007. 4. 11. 법률 제8372호) 제35조제3호
제35조(예고해고의 적용 예외) 제26조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근로자에 게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1.~ 2. (생 략) 3. 월급근로자로서 6개월이 되지 못한 자 4.~ 5. (생 략)
나 헌재결정요지 (2015. 12. 23. 2014헌바3)
월급근로자로서 6개월이 되지 못한 자를 해고예고제도의 적용예외 사유로 규정하고 있는 「근로기준법」 제35조 제3호는 근무기간이 6개월 미만인 월급근로자의 근로의 권리를 침해하고 평등원칙에도 위배 [위헌]
· 근로기준법에 마련된 해고예고제도는 근로조건의 핵심적 부분인 해고와 관련된 사항일 뿐만 아니라, 근로자가 갑자기 직장을 잃어 생활이 곤란해지는 것을 막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근로자의 인간 존엄성을 보장하기 위한 합리적 근로조건에 해당하고, 근로 권리의 내용에 포함됨.
· 해고예고제도의 이러한 취지 및 「근로기준법」 제26조 단서에서 천재·사변, 그 밖의
20
06.
「근로기준법」 제35조제3호
가 대상조문
「근로기준법」 (2007. 4. 11. 법률 제8372호) 제35조제3호
제35조(예고해고의 적용 예외) 제26조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근로자에 게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1.~ 2. (생 략) 3. 월급근로자로서 6개월이 되지 못한 자 4.~ 5. (생 략)
나 헌재결정요지 (2015. 12. 23. 2014헌바3)
월급근로자로서 6개월이 되지 못한 자를 해고예고제도의 적용예외 사유로 규정하고 있는 「근로기준법」 제35조 제3호는 근무기간이 6개월 미만인 월급근로자의 근로의 권리를 침해하고 평등원칙에도 위배 [위헌]
· 근로기준법에 마련된 해고예고제도는 근로조건의 핵심적 부분인 해고와 관련된 사항일 뿐만 아니라, 근로자가 갑자기 직장을 잃어 생활이 곤란해지는 것을 막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근로자의 인간 존엄성을 보장하기 위한 합리적 근로조건에 해당하고, 근로 권리의 내용에 포함됨.
· 해고예고제도의 이러한 취지 및 「근로기준법」 제26조 단서에서 천재·사변, 그 밖의
20
위헌결정 미개정법률현황 /국회법제실
16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함되어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고, 그의 대리권에 상소권이 포함되어 (0) | 2017.05.07 |
---|---|
개정안의 내용 : 해당조항의 “6개월”을 “3개월”로 수정 (0) | 2017.05.06 |
최윤화(2003)는 청소년의 자아상과 가정의 심리과정적 변인과의 구조적 (0) | 2017.03.17 |
여금 제약없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양육태도를 취할 (0) | 2017.03.16 |
같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는 서로 (0) | 2017.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