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케이블방송 티비연결 딜라이브 씨제이 팀장님과 함꼐 만나요!!!!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2)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PTSD)
Herman(1992)는 복합성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complex Posttaumatic stress disorder)라는 새로운 진단을 제안했다. 현재 DSM-IV, DSM-V 에 PTSD는 단일 외상 사건들을 기준으로 하고 있고, C-PTSD는 만성 적인 외상을 경험한 희생자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개념이다.
복합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오랜 기간 동안 사회적 혹은 대인관계 적인 폭력에 만성적으로 노출된 경우를 말한다. 이는 여러 Type II 외상 (Terr, 1994), 발달적 외상(Van der Kolk, 2005), 애착 외상(Allen, 2005)의 여러 이름으로 설명되어져 왔다(안현의, 2007). 복합성 외상 후 스트레스 희생자들은 전쟁 포로, 오랜 기간 동안 잡혀 있던 인질, 강 제 수용소 생존자, 컬트 종교의 생존자, 폭력의 희생자, 가정폭력 희생 자, 성적 학대 희생자, 여러 유형의 외상으로 수년 동안 고통받은 아동들 이 해당한다. 이들의 증상은 두드러진 무력감과 수동성, 과거의 모순, 다 루기 힘든 우울과 신체 증상, 분노 표출 등을 특징으로 한다.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만성적인 외상을 경험한 사람들을 ‘의존적’, ‘피학적’, ‘자기 패배적’ 성향이 있다고 설명하거나 다 른 진단을 적용하기도 한다. 특히 아동기 학대에서 비롯된 외상의 생존 자들이 정신건강 체계 안에서 잘못된 진단을 받고 잘못된 치료를 받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들은 복합성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이 밝혀지기 전 까지 여러 가지 다른 진단들을 받게 된다. 특히 세 가지 진단으로 받게 되는데, 신체화 장애, 경계선 성격 장애, 다중 인격 장애로 진단을 받기 도 한다. 복합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들은 개인의 근본적인 내적 심리 구조를 바꾸고, 대인관계, 사회적, 직업적 기능의 손실은 물론, 외 부 세상을 향해 적개심과 불신, 대인관계의 철회와 위협감을 느끼면서
- 21 -

왜곡된 세상에 살게 된다. 특히 지속적인 학대의 생존자에게서는 관계와 정체성의 변화를 포함하는 특징적인 성격적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데,(Herman, 1992) 흔히 다음과 같은 성격 특성들을 가지게 된다. 첫째, 정서, 특히 분노 조절 능력에 문제를 보인다. 둘째, 기억상실, 해리, 이인 화 또는 외상에 집착하지 않으면서 ‘현재에 머무르는 것’이 어렵다. 셋째, 무기력하며, 수치스럽고, 죄책감을 경험하고, 낙인이 찍히고, 혼자이고, 특이하고, 자기 비난에서 헤어날 수 없다고 느낀다. 넷째, 복수에 집착하 거나 반대로 가해자에게 고마움을 느끼거나 혹은 가해자의 내사를 사실 로 받아들이면서 학대한 사람이나 가해자로부터 자신을 분리해 낼 수 있 는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다섯째, 고립되고, 사회적으로 철수하며, 극도의 의심을 보이고, 자신을 보호하지 못하며, 자신을 구해 줄 누군가 를 끊임없이 찾지만 다른 사람들과 긍정적이고 건강한 관계를 맺지 못한 다. 인생의 의미와 믿음 혹은 희망을 발견하지 못하고, 미래에 대한 믿음 과 희망이 없다(Herman, 1992; Meichenbaum, 1994).
표 2.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Herman, 1992)
1. 지속적인 기간(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전체주의적인 통제하에 종속된 과거력, 인질, 전쟁 포로, 강제 수용소 생존자, 컬트 종교의 생존자의 예를 포함함. 또한 성생활과 가 정생활의 전체주의적인 체계에 종속된 이들의 예를 포함하며, 이는 가정폭력, 아동기의 신체적 혹은 성적 학대, 그리고 조직화된 성적 착취 체계의 생존자를 포함함.
2. 정서 조절의 변화 • 지속적인 침울 • 만성적인 자살에의 몰두 • 자해 • 폭발적이거나 지나치게 억제된 분노(번갈아 나타날 수 있음) • 강박적이거나 지나치게 억제된 섹슈얼리티(번갈아 나타날 수 있음) 3. 의식의 변화 • 외상 사건에 대한 기억 상실 혹은 외상 기억의 회복 • 일시적 해리성 삽화 • 이인증/비현실감 • 재경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침투적 증상의 형태 혹은 반추적 몰두의 형태
- 22 -

posted by 조현정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