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 사회복지 사상과 노인복지 _ 153
구현을 통하여 인간 생활의 이상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 16)
Ⅴ. 전망
서구복지국가의 여러 가지 제도들이 한국의 복지국가 형성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서 구의 복지사상은 당분간 사회복지의 주력 사상으로 작동될 것이다 . 그러나 서구 복지사상은 한국 의 노인복지를 위하여 일정한 한계를 지닐 수 있다 . 노인을 객체화 하여 복지의 대상으로만 여기 고 있으며 , 늙고 병드는 노인의 삶을 대단히 부정으로 바라본다 . 특히 노인을 사회가 부양해야할 부담으로 여기고 있고 노인들도 는 사회에 대한 미안함으로 위축된다 .
동양사상에서 바라보는 노인은 서양복지의 이념과는 사뭇 다르다 . 노인은 인생에 있어서 완성 된 존재이며 , 경륜과 지혜를 가진 현자이다 . 늙어감을 자연스럽게 수용할 수 있고 , 이를 즐기는 깨 달음의 존재이다 . 서양복지가 노인복지를 위한 물질적이고 제도적인 조건을 구비하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하지만 노인을 객체화하고 부양해야 할 존재로 인식하였다면 인간의 삶의 과정 에서 완성도를 높여갈 수 있는 기간을 부정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 어떻게 살아야 인간 삶이 완결성을 높여갈 수 있을 것인가라는 차원에서 본다면 동양의 노인에 대한 인식은 서양의 복지 사 상보다 더욱 유용하다 .
동양의 복지사상은 현대 복지국가의 주요한 철학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인가는 좀 더 지 켜봐야 할 문제이다 . 일단 동양의 여러 국가가 아직 서구의 복지국가 수준으로 도달하지 못하였 다 . 아직 복지 전반의 제도나 물질적인 수준이 복지를 국가운영의 최우선적 과제로 중시하는 정도 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우선 서양의 복지사상을 근거로 복지국가의 최소수준에 접근하 는 노력이 중요하다 .
서양의 복지사상에 입각한 복지국가가 일정 수준 구현된다고 하더라도 동양적 사고에 입각한 생활양태를 가지고 있는 동양 , 특히 유교생활권인 동북아 국가들은 노인복지가 완전히 충족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된다 . 따라서 유교와 도교 , 불교 등 동양 철학을 바탕으로 한 노인복지사상의 새 로운 도입과 정립을 통하여 서양 중심의 노인복지 사상으로 인한 한계점과 부족한 점을 극복해 나 가려는 시도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16) 요양원 , 요양병원 등과 같은 노인이 객체화 되는 공간이 아니라 노인들 스스로 주동체가 되어 생활하는 공동체이다 . 이를 위 하여 노인공동주거공간 , 노인을 위한 취업체계와 직업 , 노인사회교육체제 등이 갖추어져야 한다 .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PTSD) (0) | 2016.09.01 |
---|---|
유교의 사회복지 사상.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0) | 2016.08.23 |
노인복지의 물질적 조건이나 복지국가를 위한 제도적 장치에 있어서는 서구의 (0) | 2016.08.21 |
한국전쟁에 참전 한 경험이 있거나 반공산주의 교육을 받은 세대가 현재의 장년 - 노년층이기 (0) | 2016.08.20 |
경영위치란 화면의 구도를 잘 포국하여 배치하는 (0) | 2015.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