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절 ‘세계와 대지의 투쟁’을 통한 존재 지향적 사유
<작품과 진리> 초 입에서 하이데거는 작품은 ‘ 순 수한 자 립 상 태 ’에 머무 르게 해주어 야 한다고 말 하였다. 또한 “ 작품을 작품 자신이 아 닌 다른 모
든 것과의 관계로부 터 끌어내어 야 한다. ” 라고도 하였다. 그가 작품 자신 이 아 닌 다른 모 든 것과의 관계의 사례로 언급하는 것 들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작품과 작가와의 관계이다. 그는 작품을 작가와 관계지우는 것을 거부한다. ‘예술가는 작품에 비해 무관심 속에 머물 러 있다’, ‘예술 과정은
마 치 작품의 탄생 을 위해 작품 창작 행위 자체가 자신을 점 차 적으로 소멸 시 켜 나가는 것’ 이라는 그의 말 들이 작품을 작가와 관련시키는 것을 반 대함을 얘기한다.
다음은 작품에의 예술 경영적 관계를 부정한다. 작품을 이 런 관계로 연 결 짓 는 것을 반대하는 것이다. 작품의 경제적 가치, 작품보관, 작품 전시 및 관람, 작품 매매 그리고 넓게는 예술 복 지 및 정 책 , 예술의 공공 성 문제
까지 포함하는 영역이다.
이와 두 드러 진 외적 관계와는 달리 부정적으로 언급하는 또 하나는 작 품에의 대상적․학적 관계이다. 대상적 관계란 특정한 주제의식이나 철학 적 방법론 및 개념 틀 로 무장한 사유로 작품을 보는 것이다. 이는 작품다 움, 작품존재가 아니라 그것의 대상성, 즉 대상존재에서 파 악 될 뿐 이라고 본다. 그 점에서 그 런 사유는 작품 외적인 것에 관계한 사유이다. 기본적 으로 대상화는 존재자 지향적 사고에서 발 생 하며 주객분리를 밑바탕으로 깔고 들어간다. 존재자를 오직 준 거 틀 에 맞 추어서만 보게 만 드 는 ‘선입
견 ’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과학이나 개념 틀 에 의해서 처럼 , 채색되어 나타난 상을 ‘표상’이라고 부른다.
작품 외적인 것으로서의 학적 대상존재에 관한 하이데거의 언급은 다음
- 16 -처럼 단 순 하다. “ 예술전문가와 비평가들은 작품 때 문에 분 망 하다. 예술사 가들에게 작품은 예술사 연구를 위한 학문적 대상으로 변해버 린 다. ”
예술작품이 대상존재로 머무는 한 작품은 작품으로서 그리고 작품 답 게 존재하지 않는다. 작품의 창작 기법으로 철 저 히 연구 했 다고 해서, 그 작품 의 내용과 형식을 정 밀 하게 개념화 했 다고 해서 그 작품을 작품 답 게 만난 것이 아니다.
작품이 그 자신의 소리나 색으로 울 리고 빛나게 될 때 , 작품이 그 같은 모 습 으로 작품 답 게 있는 것을 존재론적으로 보면 하이데거는 “ 작품이 그 내부에서 개시하는 영역에 귀 속되는 것 ” 이라고 한다. 우리는 그 런 귀 속을 ‘작품 내적 연관’이라고 부른다. 작품은 오직 그가 내적으로 개시하는 영 역과 관계할 때 만 ‘ 순 수한 자 립 상 태 ’가 된다. 그리고 작품의 그 런 상 태 가 작품의 ‘작품존재’다.
그는 예술작품 앞에서 기존의 예술을 보는 거의 모 든 시각을 해체하고 부정한다. 그 이유는 그들 방법과 개념들이 작품을 작품 답 게 만나는데 방 해가 된다는 점이다.
1. ‘세계’와 ‘대지’의 세움
작품 내적 연관은 작품이 오로지 그 자체에 의해 개시된 영역에 귀 속하 는 존재 상 태 를 일 컫 는다. 하이데거는 고흐의 그림을 언급 했 던 것도 ‘진리 의 일어남’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고 했 다. 그와 관련하여 진리란 무엇이 며 또 어떻게 일어 날 수 있는지에 관한 물음을 묻는다.
하이데거는 “ 작품 자체로 개시(開示) 18 ) 되는 것 ” 을 보여주기 위해 선택
18) 개시하다(Erschliessen)는 ‘열어서 보이다’, ‘밝히다’를 의미한다.
전통적 진리관에서는 진리는 판단이며 판단은 대상과 합치될 때 참이 된다. 그러나 하이데거에 의하면 현존재가 세계내부의 존재자를 발견하기 때문이며 존재자의 이러한 피발견성(Entdecktheit) 내지 비은폐성(Unverborgenheit)은 세계가 개시되어 있는 것
- 17 -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구’의 개념에서 우리는 예술작품의 존재론적 규정을 논함에 (0) | 2016.09.28 |
---|---|
전통미학적 개념 틀 자체로부 터 거리를 둔다. 하이 데거 예술론은 존재흐 름 에서 시작하여 (0) | 2016.09.27 |
세계와 대지라는 존재의 거대한 일 렁 임 안에서 각 존재자들은 그것 나 (0) | 2016.09.25 |
현존재와 연관된 존재연관 으로서의 세계만이 주된 관심사였다. 염재철, 2008, 예술작품을 향한 존재자 (0) | 2016.09.24 |
‘감각적 다양성의 통 합 체’, ‘형식화된 질 료 ’는 그 어 느 것 하나 (0) | 2016.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