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케이블방송 티비연결 딜라이브 씨제이 팀장님과 함꼐 만나요!!!!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16. 10. 2. 04:30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간다. 진리의 근원이 ‘숨음’ 즉 비진리라는 말 은 낯설기도 하고 선은 곧 악 처럼 바로 받 아들이기 어 려 운 면이다. 존재는 있음이요 생 김이요, 흐 름
이다. 그 흐 름 은 없앰(무화)을 통해서만 가 능 한 현상이다. 존재가 자신을 숨 긴 다는 것은 존재가 자신이 유래한 곳 으로 되돌아감이다. 존재는 이 처 럼 숨김 속의 드러 남으로만 자기 존속이 가 능 하다. 존재진리에 담 겨 있는 이 현상을 밝 음과 숨음 사이의 근원 투쟁이라 말 한다. 존재진리의 근원투 쟁에 앞서 말했듯 이 세계와 대지의 투쟁의 원 천 이다. 세계와 대지는 오직 그들 사이의 투쟁의 투쟁화를 통해서만 진리에 잇 닿 을 수 있다.
- 30 -제3절 작품 존재의 온전한 현실성과 예술의 본질


1. 작품 존재의 온전한 현실성
<예술작품의 근원>은 시 종 일관 예술의 본질이 무엇이냐에 관한 글 이 다. 하이데거는 예술작품의 근원을 예술로 규정해 들어간다. 그 근거에 대 해서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예술이 현실적으로 살 아 움직이고 진행되는 곳 이 예술작품이라는 것은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는 예술 이라는 구체적 모 습 과 본질을 알아내고자 예술이 현실적으로 살 아 움직이 고 진행되는 장소인 “ 예술의 작품 ” 에 머물며 작품존재의 현실성과 예술의 본질 사이의 순 환길을 거듭 걸 으면서 예술의 본질 이해를 깊 게 다 져 나 갔
다. 이에 하이데거가 말 하는 작품 존재의 온 전한 현실성이란 무엇인지 짚 고 가보자.
하이데거는 예술 작품을 만나는 두 가지 태 도를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 다. 하나는 존재자 지향적 태 도인 모 든 형이상학적 미학이 취 하는 태 도이 고 다른 하나는 작품의 존재를 만나는 존재 지향적 태 도이다. 두 번 째 것 이 하이데거가 말 하는 작품의 온 전한 현실성과 상통함은 두 말 할 나위가 없는 부분이다.
먼저 존재자 지향적 태 도에서는 작품의 현실성을 사물적 측면에서 찾 았 다. 이는 사물과 사물성, 감각과 이성이라는 오래된 구분 틀 로 예술작품을
“ 상 징 (象徵, Symb o l ) ” 33 ) 과 “ 알 레 고리( All e g or i e) ” 34 ) 로 보는 다양한 형 태 의 예술론을 생산 한다는 것이다. 예술작품을 상 징 또는 알 레 고리로 보는 모
33) 상징을 가리키는 그리스어 symbolon은 syn(together)과 ballein(throw)의 합성어이 다.
34) 알레고리를 가리키는 그리스어 allegoria는 allos(another)와 agoria(say)의 합성어이 다.
- 31 -

posted by 조현정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