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는 다르게 존재 지향적 태 도가 보이는 현실성은 바로 작품 그것이 거기 있음으로 해서 벌 어지
는 일, 오직 그것만이 작품의 현실성으로 유효 하다. 예술작품은 작품 답 게 존재하면서 그만의 세계를 열어 세우고 그만 의 대지를 불러 세운다. 작품의 작품 존재는 그 둘 의 투쟁을 지속적으로 투쟁화시키는 것이며 거대한 존재의 일 렁 임을 불러 일으키는 것이다. 존재 지향적 태 도는 일체의 개념화, 논리화 등의 지적 접 근은 배제한 채 오로 지 작품이 품어내는 일과 그 흐 름 들에 우리 존재가 함 께 흘러 가고 느 끼고 즐기고 감동 받 는 것이다. 존재 지향적 태 도에서는 내가 전문가적인 지식 을 얼 마 나 가지고 있나보다 작품과 나의 존재가 만나서 일어나는 즉 흥적 연관이 더 중요하다는 확신이 깔 려 있다.
작품존재의 현실성에 머무른다는 것은 머무 름 의 순 환을 통해 늘 풍요롭 게 이해하고 느 껴가는, 결과가 있는 것이 아니라 길 가운데 있음만이 존 재한다. 작품 존재의 온 전한 현실성이란 작품이 작품 답 게 있을 때 그 현 재적 ‘있음’의 상 태뿐 만 아니라, 그것의 과거적 ‘있어옴’,의 상 태 , 미래적 ‘있어감’의 상 태 가 모두 고 려 된 현실성을 뜻 한다.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 간>에서 인간현존재 35 ) 의 온 전한 현실성은 현재적 순 간의 “ 있음 ” 뿐 만 아
35) 인간현존재라는 말은 하이데거가 다른 존재자들과는 전혀 다른 인간의 존재 양식을 나타내기 위해 단순히 ‘거기 있음’을 뜻하는 독일어 단어 Dasein에 새로운 의미를 부 여하여 고안해낸 철학용어의 우리말 번역어이다. 김동훈, 2008, 하이데거 예술철학 :
미학대계 제2권, 서울대학교 출판부, 579쪽
- 32 -
니라 탄생 까지 잇 닿 은 “ 있어옴 ” 의 존재, 죽음까지 잇 닿 은 “ 있어감 ” 의 시간 상의 존재 상 태 가 총체적으로 고 려될 때 라고 했 다. 36 ) 작품의 작품 존재도 현실적으로 창작과의 연계로 창작됨이 담 겨 있으며 작품존재가 현실적으 로 끝남이 아니라 감상과의 연계로서 ‘감상됨’이 담 겨 있다. 즉 작품존재의
온 전한 현실성이란 창작자와 감상자의 숨결이 작품에 의거하여 작품 가운 데로 작품 가운데서 한데 어우 러져 총체적으로 흘러 가는 열 린 터 인 것이 다.
2. 예술창작과 존재진리
“ 우리가 작품의 자 립 을 아무리 열정적으로 묻는다 해도, 작품을 어떤 작업에 의해 이 루 어진 것으로 받 아들이지 않는 한 우리는 작품의 현실성을 놓 치게 된 다. 오직 작품을 어떤 작업에 의해 이 루 어진 것으로 받 아들일 때 우리는 작품 에 가장 가까이 있게 된다. 작품의 작품적 측면은 그것이 예술가에 의해 창작 되었다는 사실 속에 있다. ” 37 )
<진리와 예술> 초 입에서 작품존재의 ‘창작 되어있음’을 묻는 하이데거 도 전통 예술론이 걸 었던 길을 따라 걷는다. 전통 예술론의 전개 방식에 동의해서가 아니다. <사물과 작품>에서도 전통적 사물개념을 통해 작품 존재를 이해 했듯 이 여기서도 전통창작 이론을 밟으며 잘못 된 길을 돌아 하이데거가 말 하는 작품 존재에 담 긴 창작 측면을 이해할 수 있기 때 문이 다.
전통창작 이론은 크게 재현론과 표현론의 양극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재현론은 예술가의 창작 행위를 현실세계 또는 그것의 본질을 작품 속에
36) 하이데거 해석학적 존재론에서의 탄생과 죽음이 단순히 생물학적 그것이 아니다. 실 존론적 탄생과 죽음은 그의 실존론적 시간론에 연결되어 있다.
37) M. 하이데거, 오병남 역, 앞의 책, 71쪽
- 33 -
'황제를위하여 영화평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조 (양해각서의 효력, 해제 등) 第六条(谅解备忘录的生效、解除等) (0) | 2016.10.15 |
---|---|
정서를 작품 속에 불 어넣는 행위로 보는 이론이다. (0) | 2016.10.04 |
존재는 있음이요 생 김이요, 흐 름<예술작품의 근원>은 시 종 일관 예술의 (0) | 2016.10.02 |
작품존재가 이 극도의 움직임 가운데서 침 잠하고 안식할 때 그 가운데 서 어떤 “밝 음 ” 과 “드러 남 ” 이 생겨 (0) | 2016.10.01 |
세계는 보다 개시적이고 대지는 보다 폐쇄적이기에 서로 다른 것이 나 타나기도 하고 연관을 가지기도 한다. 작품존재의 두 본질 (0) | 2016.09.30 |